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임지나(법학과2년) 작성일13-06-14 14:08 조회4,97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안녕하세요?
김재문 교수님과 학우여러분, 그리고 우리 전통문화를 사랑하는
방문자 여러분..
김재문 교수님께서 우리 전통문화에 조애가 깊으신건 익히 들어
알고 있었지만..
막상 이 홈페이지를 찾으니.. 그 각별함이 더욱 더 돋보이는듯 합니다.
우리 법학생들은 주로 법학의 기원을 독일이나 프랑스, 일본..
그리고 영미의 판례들을 분석하는 공부를 하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나라의 조상들의 지혜와 근본을
망각한 채 법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모래 위에 짓는 집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법의 목적이, 정의 구현, 법의 안정성,합목적성에 있다면
그 모든 것이 우리 민족의 오랜 삶을 무시하고선 이루어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전통문화에 관심은 있으나 방대하고 상세한 자료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을 위해 솔선수범 하셔서
희생해주신 교수님께 새삼 깊은 경의를 표합니다..
김재문 교수님과 학우여러분, 그리고 우리 전통문화를 사랑하는
방문자 여러분..
김재문 교수님께서 우리 전통문화에 조애가 깊으신건 익히 들어
알고 있었지만..
막상 이 홈페이지를 찾으니.. 그 각별함이 더욱 더 돋보이는듯 합니다.
우리 법학생들은 주로 법학의 기원을 독일이나 프랑스, 일본..
그리고 영미의 판례들을 분석하는 공부를 하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나라의 조상들의 지혜와 근본을
망각한 채 법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모래 위에 짓는 집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법의 목적이, 정의 구현, 법의 안정성,합목적성에 있다면
그 모든 것이 우리 민족의 오랜 삶을 무시하고선 이루어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전통문화에 관심은 있으나 방대하고 상세한 자료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을 위해 솔선수범 하셔서
희생해주신 교수님께 새삼 깊은 경의를 표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